FrontEnd/JavaScript

JavaScript의 변수와 자료형

luckjjh 2022. 4. 28. 17:48

변수

변수는 '변할 수 있는 수', '변할 수 있는 정보'라는 뜻을 갖고있다.
C의 경우 변수를 선언할 때 변수에 넣을 자료형과 함께 선언해야 하지만, JavaScript는 별 다른 자료형 없이 var, let, const로 변수들을 선언 가능하다.

자료형

var, let, const로 변수를 선언하고 해당 변수에 값을 할당하면 변수에 자료형이 생기게된다. JavaScript는 자료형을 크게 원시 자료형과 객체 자료형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.

원시 자료형

원시 자료형으로 Number, String, Boolean, undefined, Symbol, null이 존재한다. 해당 자료형들을 갖은 변수를 다른 변수에게 복사하면 값이 복사되어 두 변수가 서로 독립되게 된다.

  • Number
    37, -9.25와 같은 숫자를 표현하고 다룰 때 사용하는 자료형으로 정수(int)와 실수(double)를 둘다 커버한다. 최대 값은 1.8E308으로 이상의 수는 Infinity로 표현된다.
    • Method
      • .toLocaleString()
        호출한 변수의 값을 문자열 형태로 바꿔주는 메소드
      • parseInt(num,temp)
        num을 temp진수로 변환하는 메소드 temp의 default 값은 10으로 소수점이 있는 수를 num에 넣어 소수점을 버리는 용도로 사용가능하다.
      • .toFixed(n)
        호출한 변수의 소수점 자리수를 n까지 나타내주는 메소드
        이 외에 Math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다양한 연산이 가능하다.
  • String
    문자열을 표현하는 자료형
  • Boolean
    true, false를 표현하는 자료형
  • undefined
    아무런 값도 할당받지 못한 변수를 나타내는 자료형
  • Symbol
    충돌 위험이 없는 유일한 객체의 property key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자료형으로 생성된 Symbol은 변경 불가능하다.
  • null
    어떤 값이 의도적으로 비어있음을 표현하는 자료형으로 JavaScript 오류로 typeof를 사용하면 자료형이 Object로 나온다.

객체 자료형

원시 자료형을 제외한 모든 자료형은 객체 자료형이다.

'FrontEnd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jQuery .css()의 중복 사용  (0) 2022.04.23